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제주시

Contents

홈 다음 시민참여 다음 시민게시판 다음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은 네티즌 여러분의 진솔한 이야기, 미담사례, 알리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게시하는 시민의 사랑방으로,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제주관광지도 신청 제주관광안내책자

  • 해당 게시판에 올린 내용은 답변 하지 않습니다.
    답변을 원하는 경우에는 시장에게 바란다를 이용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해당 게시판을 통하여 제시한 각종 의견 등은 민원사무로 접수되지 않습니다.
    민원사무로 처리를 원하는 경우에는 국민신문고 민원상담을 이용 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의 게시물, 반복성이 있거나 게시판 성격과 다른 게시물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되거나 이동될 수 있습니다. 또한, 홈페이지를 통하여 불법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할 경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74조에 따라 민·형사상의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가을장마 전기안전요령
작성자
양지원
작성일
2019-09-09 13:45:18
조회수
429
[세찬 비바람이 불 때의 전기안전]

주택의 경우 세찬 비바람이 몰아칠 때 집으로 연결된 전선이 끊어진다던가 나뭇가지에 마찰되어 전선피복이 벗겨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절대 그 근처에 접근하지 말고 즉시 전기고장(국번없이 123) 신고하여 수리를 받도록 하여야 한다.

[침수시의 전기안전]

집안이 침수되었을 때는 전기콘센트나 냉장고 등의 모터부분을 통하여 누전되어 집안의 고인물에 전기가 흐르고 있을지도 모르므로 접근하지 말고 제일 먼저 분전함의 전원스위치를 끈 다음 물을 퍼내고 건조시킨 후 전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벼락피해 예방]

낙뢰가 발생시 통신선 등을 통하여 과전류가 흘러 가전제품이 손상되는 사례가 빈번하다. 따라서 번개가 치기 시작하면 외부 안테나가 설치된 TV는 플러그를 뽑아 두고 번개가 치는 동안 전기기구를 만지거나 수리하는 것은 위험하므로 금하여야 하며 농촌에서는 전선이나 전기기구를 들고 농로를 다니는 것은 절대 피하여야 한다.
현재 게시글의 내용에 만족하시나요?
  • 콘텐츠 관리부서:경제일자리국 디지털혁신과
  • 담당자:이홍규
    전화064-728-2293
현재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