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2021년 시정 주요성과
시민과 함께 이룬 제주시정의 걸어온 길을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1. 재난에 신속 대응하는 시민안심 시정 구현
-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총력 대응
-
- 재난안전대책본부 및 비상방역대책상황실 24시간 연중 운영
- 신속하고 체계적인 역학조사, 무료·선제검사 등으로 코로나19 확산 최소화
- 자가격리자 모니터링을 위한 전담공무원 지정 확대: 1,093명 → 1,395명
- 다중이용시설 방역 및 예방물품(마스크, 손소독제 등) 지원
- 집단면역을 위한 백신접종 실시 ⇒ 시민의 84.0% 2차접종 완료(’22. 1. 18. 기준)
- 자연재난 피해 최소화를 위한 위험지역 정비 및 인프라 구축
-
- 위험지역 정비:자연재해위험 개선지구(6개 지구), 풍수해 생활권(1개 지구), 지방(소)하천(15개 사업), 우수저류시설(3개소)
- 인프라 구축:재난 감시용 CCTV 시설 추가(1개소), 실시간 CCTV 영상 시민 제공
- 폭염으로부터 안전하고 건강한 생활환경 조성
-
- 그늘막(61개), 버스승차대 지붕판넬(49개소), 쿨링포그(1개소 연장) 등 폭염저감시설 설치
- 무더위쉼터(337개소) 운영, 취약계층 물품(생수, 쿨링마스크 등) 지원 등 예방활동 추진
- 선제적 가축전염병 유입방지 체계 강화
-
- 아프리카돼지열병, 구제역 유입 차단을 위한 현장방역으로 미발생 유지
- 도내 고병원성 AI(한림읍, 오리) 발생에 따른 긴급방역으로 AI 조기종식
2.시민과 함께 시정 혁신을 이끄는 소통행정 구현
- 시민과의 현장 대화·소통으로 상생하는 지역사회
-
- 26개 읍면동 및 95개 마을 현장 대화:건의사항 572건* 수렴
* 완료 182건(32%), 추진중 177건(31%), 장기검토 148건(26%), 수용불가 65건(11%)
- 중앙로사거리 횡단보도 및 지하도상가 승강기 개통(’21. 12 .6.)
- 지역주민과의 대화와 타협으로 봉개동 폐기물처리시설 연장사용 협약 체결(’21. 10. 31.)
- 26개 읍면동 및 95개 마을 현장 대화:건의사항 572건* 수렴
- 소통협력센터 개관(’21. 10. 28.)으로 지역사회혁신 기반 마련
-
- 커뮤니티 공간, 질문도서관, 공유주방, 아동친화시설 등 협업공간 조성
- 주민 주도 생활실험, 지역현안 해결을 위한 민ㆍ관협력 등 지역 혁신활동 지원
- 비대면 환경에 대응한 시정 정보 및 교육 제공
-
- 제주시 공식 SNS 운영을 통한 시정 홍보(1일 5~7건)
- 시 주관 행사 실시간 스트리밍 중계(18건) 및 수어통역 제공(142건)
- 시민 대상 비대면 화상교육(55개 강좌ㆍ678명) 및 인문학 교육(10개 강좌ㆍ230명) 운영
- 한국판 뉴딜에 대응한 제주시형 뉴딜사업 추진
-
- 제주시형 뉴딜사업 발굴:43개 사업* 2,205억 원
* 뉴딜사업예산 반영:(’22년) 27개 사업_267억원, (’21년) 22개 사업_276억 원
- 제주에너지공사 - 제주시 그린뉴딜 조기 정착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21. 7. 7.)
- 제주테크노파크와 뉴딜정책 공동 제안설명회 개최(’21. 7월) 및 2개 사업* 발굴
* 제주형 디지털상권 르네상스, 스마트 버스승차대 확충 사업
- 제주시형 뉴딜사업 발굴:43개 사업* 2,205억 원
- 시민이 감동하는 행복 민원실 운영
-
- 민원행정서비스 고객만족도 향상:94.2점(전년대비 0.6점 상승)
- ‘차타고 척척 민원센터’ 서비스 확대(31종 → 62종) 및 무인민원발급기 확충(40대 → 43대)
- 고객과의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민원창구 양방향 마이크 설치:15개소
3. 시민 모두가 골고루 누리는 포용적 복지 실현
- 민ㆍ관 협력으로 모두가 함께 누리는 복지환경 조성
-
- 빅데이터 활용 ‘1인가구 안부살핌서비스’ 시범사업 추진:100가구
- ‘주민희망 돋보기 줌 - 인(ZOOM-IN)’ 운영으로 1인 가구 맞춤형 지원:50가구
- 위기가구(3,236명) 및 복지자원(2,674건) 발굴 ⇒ 복지서비스 연계(28,914건)
- 아동이 행복하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기반 마련
-
- 아동학대 조사 공공책임 강화를 위한 아동보호팀 신설(’21. 7월)
- 아동양육시설 주52시간 종사자 증원:73명 → 104명
- 코로나19 상황에 따른 아동복지시설 한시돌봄 인력 배치:28개소ㆍ35명
- 공공형(92개소 → 98개소)ㆍ열린(78개소 → 92개소) 어린이집 등 공보육 인프라 확충
- 활기차고 건강한 어르신 노후생활 지원
-
- 어르신 고용 확대를 위한 일자리 발굴 및 제공:62개 사업ㆍ6,605명
- 기초연금(42,773명 → 45,264명) 및 장수수당(18,085명 → 19,134명) 지원대상자 확대
- 경로당 신ㆍ증축(14개소ㆍ63억 원) 및 기능보강(219개소ㆍ10억 원) 등 여가환경 개선
- 장애인의 역량과 편의 향상을 위한 환경 제공
-
- 장애인 욕구에 맞춘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 추진
* 장애인 지원·자립생활주택(17호), 이동권 보장(503명), 1:1행복플래너 지원(60명) 등 생활 지원
* 응급안전 시스템(300가구), 장애인 24시간 긴급돌봄(102명·327일 이용) 등 케어서비스 제공
- 발달장애인 주간활동 및 방과후활동 서비스 제공기관 확대:4개소 → 8개소
- 장애인 편의시설, 사회복지시설 소방시설 개선:60개소ㆍ11억 원
- 장애인 욕구에 맞춘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 추진

- 저소득층의 기초생활 보장으로 안정적인 삶 지원
-
- 기초생활보장 선정기준 완화로 지원 대상자 확대:14,193가구 → 16,164가구
- 수요자 중심의 장애인보장구 및 의료급여 요양비 등 지원:8,408명ㆍ7억 원
- 주거비 부담완화를 위한 임차 주거급여 지원:10,694가구ㆍ178억 원
- 자가주택 집수리 지원으로 주거환경 개선:59가구ㆍ441백만 원
- 한부모가족 양육지원 강화로 생활안정 도모
-
-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원확대*:1,937명ㆍ46억 원 → 2,986명ㆍ55억 원
* ’21년 5월부터 생계급여 수급 한부모가족에게 아동양육비 월10만 원, 만 25세~34세 이하의 청년 한부모에게 추가아동양육비 월5~10만 원 지원
-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원확대*:1,937명ㆍ46억 원 → 2,986명ㆍ55억 원
4. 도시와 농촌이 더불어 잘사는 도심환경 조성
- 이용자가 편리하고 안전한 교통환경 조성
-
- 에어커튼(22개), 온열의자(49개), 방한텐트(6개소) 등 대중교통 편의시설 설치
- 안전조명등(75개), 스마트 횡단보도(4개소), LED바닥신호등(2개소) 등 보행환경 개선
- 어린이보호구역 등 불법주ㆍ정차 단속 CCTV 확충:35대
- 주차난 해소를 위한 차고지증명제 정착 및 주차 인프라 확충
-
- 차고지증명제 시행 후 신규등록 차량 감소, 주차장 확보율 증가
년도별 냐고지증명제 시행 후 신규등록 차량 감소, 주차장 확보율을 나타냅니다. 구분 2019 2020 2021 신규등록차량 24,511대 / 전년대비15.8% 감소 23,574대 / 전년대비3.8% 감소 23,131대 / 전년대비 1.8% 감소 주차장 확보율 100.1% 109.5% 120.3% - 자기차고지 갖기 보조사업 지원:327개소ㆍ563면
- 공영주차장 복층화 (3개소ㆍ444면) 및 공영(공한지)주차장 조성(37개소ㆍ629면)
- 공영주차장 유료화 추진:13개소ㆍ493면
*60개소ㆍ4,506면 운영중 (’21,12월 기준)

- 도심지 내 교통체증 해소를 위한 도시계획도로 확충
-
- 도시계획도로 시급 노선 집중 투자:63개 노선ㆍ894억 원
- 공항입구 교차로(연장 900m, 폭 30 ~ 39.5m) 및 지하차도(연장 520m, 폭 18m) 공사 추진
- 부림랜드 ~ 1100도로, 연도로, 월광로 ~ 노형로 등 주요 도심지 우회도로 개설
- 도시공원(오등봉ㆍ중부)의 원활한 조성을 위한 행정절차 이행
-
- 도시공원의 일몰방지로 시민들의 여가ㆍ휴식공간 조성을 위한 기틀 마련
- 화북상업지역 체비지 매각 마무리를 통한 사업추진 탄력 도모
-
- 호텔용지를 주상복합용지로 용도변경 후 체비지 매각 완료:2,660억 원
- 도시와 농촌이 함께 발전하는 기반 마련
-
- 주민과의 협치를 통한 용담1동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264억 원 확보
- 농촌중심지(조천읍ㆍ애월읍·구좌읍) 활성화를 위한 기반시설 및 문화ㆍ복지공간 확충:18억 원
- 제주다움복원사업 등 농촌 고유자원을 활용한 제주형마을만들기 추진:56억 원
5. 시민들의 심신을 위로하는 다채로운 문화ㆍ관광ㆍ체육 콘텐츠 제공

- 일상회복의 염원을 담은 문화ㆍ관광행사 개최
-
- ‘창작오페라 순이삼촌’의 전국화 토대 마련:제주 2회ㆍ경기 1회 공연 개최
- 온ㆍ오프라인을 병행한 2021 아트페스타인제주(6th) 개최:3,835명 관람
- 2021 제주독서대전 개최:50개 프로그램 운영ㆍ30,165명 참여
- 오름 불놓기 사전예약제와 유튜브 생중계(1만7천여 명 동시 접속) 등을 도입한 제주들불축제 개최
⇒ 전 세계에 축제의 새로운 롤 모델 제시
- 드라이브인 관람(사전예약 100대) 방식의 지역예술인 등이 참여한 새별힐링축제 개최

- 편리하고 안전한 관광환경 조성
-
-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올레길 조성(’21. 8월 준공):18코스ㆍ2.5km
- 모바일 QR코드를 통한 안전하고 투명한 관광사업체 정보 제공:54개소(시범)
- 야간 관광 활성화를 위한 별빛누리공원 경관조명 설치:50백만 원
- 시민 건강증진과 활기찬 사회를 위한 여가활동 지원
-
- 장애인 생활체육대회(6개 대회) 및 종목별 생활체육대회(16개 대회) 개최
- 사라봉 다목적체육관 증축(’21. 6. 4.):32억 원
- 도내 전지훈련팀 유치:1,193팀 12,823명 ⇒ 지역경제 파급효과:250억 원
- 공항소음대책 지역 내 생활밀착형 하늘길방음작은도서관 개관(’21. 12. 24.)
6. 코로나19 장기화로 침체된 민생경제의 안정과 회복 지원
- 1차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경쟁력 강화
-
- 소비 트렌드 변화에 대응한 라이브커머스 등 온라인판매 촉진:2개 사업ㆍ7.5억 원
- 지역 농수축산물 직거래 및 홍보 활성화:6개 사업ㆍ1.6억 원
- 농작물우수관리ㆍ친환경 인증 확산(3,024㏊) 및 정예소득작목단지(13개소) 조성
- 서민경제 지원으로 삶의 질 개선
-
-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지원:420,153명ㆍ1,050억 원
- 한시 생계지원(정부 4차 재난지원금):5,577가구ㆍ27억 원
- 저소득층 추가 국민지원금 및 도민 상생지원금:34,409가구ㆍ54억 원
- 농촌 고령화에 대응한 영농환경 개선으로 일손 부족 해소
-
- 농작업 효율화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중ㆍ소형 농기계 지원:603대ㆍ22.5억 원
- 드론 이용 농약방제 대행비(1,843haㆍ1.7억 원), 토양개량제 공동살포(2,800톤) 지원
- 소상공인 부담 경감과 시장 활성화 지원
-
- 중앙지하도 상가 점포 임대료 80% 감면 및 공용 관리비(전기, 수도) 지원
- 동문ㆍ서문공설시장 및 민속오일시장 시설 사용료 50% 감면
- 전통시장 시설현대화(50억 원), 동문공설시장 청년몰 확장(2억 원) 등 시장 시설 개선
- 생계를 보호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일자리 지원
-
- 공공부문 일자리(19,126명), 사회적기업 지원 민간부문 일자리(308명) 제공
- 청년몰(’21. 3. 25. 개장) 및 야시장 운영을 통한 청년 일자리 창출
7. 청정 제주자연 보존과 자원 선순환 사회 조성
- 지역주민 주도의 생태관광 육성으로 청정 자연환경 보전
-
- 주민과 함께하는 선흘1리ㆍ저지리 생태관광 육성:180백만 원
- 자연환경보전이용시설 정비:오름(10개소), 습지(4개소), 용천수(3개소)

- 미세먼지 저감과 기후변화에 체계적으로 대응
-
- 탄소포인트제(참여율 전국 2위) 등 온실가스 감축 사업 추진:연간 11,473톤 감축
- 배출가스 무료 검사 등 자동차 배출가스 관리:5,634대
- 소규모 사업장 노후 대기오염 방지시설 교체 지원:21개소ㆍ15억 원
- 도시바람길숲(연북로 등 16개소ㆍ32㏊) 및 도시숲 조성(신대로 등 3개소ㆍ6㏊)
- 미래지향적 생활폐기물 처리체계 구축
-
- ICT 기반 압축 컨테이너(4대) 시범 운영:가연성폐기물 193.8톤 처리
- 재활용도움센터 확충(45개소 → 53개소)으로 재활용자원 수거(3,936톤)

- 투명페트병 별도배출 제도 시범운영('21.12.25. 의무시행)→재활용도움센터 319톤 반입
- 재활용데이 등 자원회수보상제 실시 : 245,053명 참여, 종량제봉투 205만 매 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