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 상생하는 「환경도시」
Contents
환경도시

06.
시민 참여·실천으로 지속 가능한 자원순환 도시 조성
- 리사이클링 및 업사이클링센터 기반 구축 → 자원 활용도 제고
- 리사이클링:도움센터 신축 15개소 및 인력 400여명 운영 (181억 원)
- 업사이클링:새활용 산업 활성화를 위한 업사이클링센터 개관 (8월)
- 환경기초시설(봉개) 운영 마무리 추진 → 자연 친화적 사후관리 실시
- 사용종료:<소각> ‘23.2월, <재활용> ‘23.5월, <음식물> ‘24.1월

환경자산의 체계적 보전과 지속가능한 탄소중립 사회 조성
- 자연환경보전이용시설 환경친화적 정비 + 습지도시 브랜드 위상 제고
- 시설정비:오름·습지·용천수·해양도립공원 정비 (30개소·20억 원)
- 습지도시:람사르 습지도시 인증프로그램·습지센터 운영 (5억 원)
- 시민참여 탄소중립 + 기후위기 대응 추진 → 탄소중립 사회 조성
- 시책추진:탄소중립 생활실천 프로그램, 탄소포인트제 참여율 제고
- 시설정비:폭염쉼터 조성 (5개소), 기후변화대응 도시숲 조성 (90억 원)

건강·휴양과 정서를 위안하는 쾌적한 도시녹지환경 구축
- 도심속 녹지공간 확대 + 미세먼지 발생 억제 → 시민 건강 증진
- 도시녹화:가로수 식재, 나무은행, 도시공원 정비 등 (22개 사업·48억 원)
- 산림사업:미세먼지 발생 억제 조림사업 및 나무심기 14,200그루
- 체계적인 산불대응 + 산림병해충 방제 → 산림자원 보호
- 산불대응:산불감시인력 109명 배치 및 산불감시초소 12개소 정비
- 삼림방제:고사목제거, 예방나무주사 250ha, 숲가꾸기 1,693ha (69억 원)

축산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를 통한 축산악취 해소
- 무인 측정기 도입을 통한 상시 모니터링 → 효율적인 지도점검 체계 구축
- 모니터링:취약 시기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악취 발생 최소화
- 합동점검:악취관리지역 지정농가 160개소 관계기관 합동점검
- 가축분뇨 에너지화 및 친환경 퇴·액비생산 → 깨끗한 축산환경 조성
- 기반시설:가축분뇨 안정화 및 집중화처리시설 (14개 사업·157억 원)
- 퇴액비화:친환경 가축분뇨 퇴·액비 생산 및 안정화 (18억 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