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이 해결되는 「경제도시」
Contents
경제도시

02.
재정과 시책의 동시 견인을 통한 민생경제 회복 추진
- 경제 활성화를 위한 공공재정 투입 → 경제 활성화의 마중물
- 재정집행:상·하반기 전략적이고 속도감 있게 추진 (상반기 60.5%)
- 국비확충:중앙지원사업 + 중앙단위 공모 사업 발굴 + 중앙부처절충
- 지역 주도형 일자리 발굴 + 자생적 경제 지원 → 민생경제 활력화
- 공공일자리:일자리 창출 목표 1,026명 (104억 원)
- 자생적경제:사회적 경제기업 육성 시책 + 중소기업 지원 (73억 원)
- 원도심과 연계한 상권 활성화 + 전통시장 육성 → 서민경제 활성화
- 원도심 연계:원도심 문화적 가치와 연계한 *상권활성화사업 추진 [ *원도심 기반 물류ㆍ문화 허브 조성 → 원도심 내 유동 인구 유입 추진 ]
- 시장 현대화:민속오일시장 등 14개소 시설현대화 사업 추진 (45억 원)
안정적이고 미래지향적 1차 산업 경쟁력 구축
- 농업인 육성 시책 + 경영 안정 지원 → 1차 산업 경쟁력 확보
- 농업육성:기본형 공익직불사업 등 확대 추진 (8개 사업·309억 원)
- 경영안정:친서민 농정시책, 농산물 유통시설 등 (19개 사업·317억 원)
- 6차산업 지원, 기업연계 ESG 시책 개발 →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
- 6차산업:6차산업 브랜딩·마케팅 지원으로 청정 제주이미지 제고
- ESG:행정의 책무 + 기업의 사회적 역할 → 행정과의 협업 추진

수산업 지원 확대를 통한 지속 가능하고, 활력 넘치는 어촌 구현
- 해녀·어업인 소득 증대 및 해녀복지 지원 → 해녀보호·관리 내실화
- 수산자원:패조류 투석, 수산 종자 방류 등 (23개 사업·41억 원)
- 해녀복지:해녀탈의장 운영비·안전보험·진료비 등 (19개 사업·64억 원)
- 어촌의 낙후된 시설 현대화·정주여건 개선 추진 → 어업 경쟁력↑
- 환경개선:어촌뉴딜, 특화개발사업 추진 (12개 사업·103억 원)
- 청정바다:해수욕장 시설물 정비 및 바다지킴이 등 (40개 사업 88억 원)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안방류 적극 대응 → 어족 자원 보호 강화
